번역총서  


삼파집(三巴集) 마카오 성바오로성당 중국인 신부의 노래(해항도시문화교섭학번역총서 17)

삼파집(三巴集) 마카오 성바오로성당 중국인 신부의 노래(오력 저, 장문흠 전주, 최낙민·김창경 역, 선인, 2018.08)

본서는 "청초육대가(淸初六大家)"의 한 사람으로 청나라 초기 산수화단을 대표하던 오력(오어산, 1632~1718)이 지천명의 나이로 '신의 이름의 도시'라 불린 마카오의 성 바오로 학원에서 수도자로서의 삶을 사는 동안에 지은 천학시(天學詩)들을 모은 『삼파집(三巴集)』을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삼파란 바로 성 바로오 학원과 성당을 지칭하는 말이다. 중국 고전시가의 형식을 빌려 기독교와 서양의 종교문화흫 담아낸 천학시의 탄생은 중국고전문학의 내용을 풍부히 하는 중요한 사건임에 틀림없다. 또한 천주교 선교사와 동서양의 문화교류를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한 자료임에 틀림없다. 


목차

책을 내면서
일러두기 

1부 오중잡영(澳中雜詠) - 마카오의 노래
제1수 / 제2수 / 제3수
제4수 / 제5수 / 제6수
제7수 / 제8수 / 제9수
제10수 / 제11수 / 제12수
제13수 / 제14수 / 제15수
제16수 / 제17수 / 제18수
제19수 / 제20수 / 제21수
제22수 / 제23수 / 제24수
제25수 / 제26수 / 제27수
제28수 / 제29수 / 제30수 

2부 성학시(聖學詩)
- 자술(自述): 1 / - 자술(自述): 2
- 일제(佚題): 1 / - 일제(佚題): 2
- 일제(佚題): 3 / - 일제(佚題): 4
- 일제(佚題): 5 / - 일제(佚題): 6
- 일제(佚題): 7 / - 일제(佚題): 8
- 일제(佚題): 9 / - 일제(佚題): 10
- 일제(佚題): 11 / - 일제(佚題): 12
- 일제(佚題): 13 / - 일제(佚題): 14
- 성모 영보를 경하드림(慶賀聖母領報): 1
- 성모 영보를 경하드림(慶賀聖母領報): 2
- 잡영(雜詠): 1
- 잡영(雜詠): 2
- 잡영(雜詠): 3
- 잡감 오절(雜感五絶): 1
- 잡감 오절(雜感五絶): 2
- 잡감 오절(雜感五絶): 3
- 자술오율(自述五律)
- 교우 곽에게 주다(贈郭)
- 세상을 떠나신 스승 주 신부님을 기리며(頌先師周鐸)
- 성 요셉 찬미(讚聖若瑟): 1
- 성 요셉 찬미(讚聖若瑟): 2
- 교우를 축복함(賀友)
- 교황의 복벽 소식을 듣고(聞敎宗復?)
- 거룩한 교회의 은혜에 감사하며 (感謝聖會洪恩) : 1
- 거룩한 교회의 은혜에 감사하며 (感謝聖會洪恩): 2
- 사도 성 시몬을 찬미함(讚宗徒聖西滿)
- 성 이냐시오(Ignatius de Loyola, 聖依納爵)
- 성 프란치스코 하비에르(Francis Xavier, 聖方濟各·沙勿略)
- 성 요한, 바오로, 야고보 일본에서의 순교(聖若望, 保祿, 雅各伯日本國致命)
- 성 프란시스코 보르하(Francisco de Borja, 聖方濟各·?爾日亞)
- 성 스타니수아프 코스트카(Stanislaus Kostka, 聖達尼老·格斯加)
- 성 알로이시오 곤자가(Aloysius Gonzaga, 聖類斯·公撒格)
- 성 장프랑수아 레지스(Jean Francois Regis, 聖方濟各·來日斯)
- 교우를 축하하며(賀友)
- 성교회의 진리를 노래하다 (感詠聖會眞理): 1
- 성교회의 진리를 노래하다 (感詠聖會眞理): 2
- 성교회의 진리를 노래하다 (感詠聖會眞理): 3
- 성교회의 진리를 노래하다 (感詠聖會眞理): 4
...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