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항도시 문화교섭학 연구총서






동아시아 해역의 이주와 사회(바다 인문학 연구총서010)

권경선, 구지영, 김윤환 편저, 『동아시아 해역의 이주와 사회』, 선인, 2023.05.



<들어가는 글> 이주, 근현대 동아시아 사회를 보는 창 (권경선: 한국해양대학교)


1부 근대 동아시아의 이주와 사회: 이민과 식민의 시대, 동아시아 사회의 확장

 1. 근대 동북아시아의 역내 이주와 이주자의 구성 (권경선, 한국해양대학교)

 2. 근대 동아시아 해역사회의 일본인 이주와 일본불교: 근대 일본 제국의 식민지 형성과정과 일본불교의 사회적 역할 (김윤환, 한국해양대학교)

 3. 일제시기 조선인의 밀항 실태와 밀항선 도착지 (김승, 한국해양대학교)

 4. 경계, 침입, 그리고 배제: 1946년 콜레라 유행과 조선인 밀항자 (김정란, 옥스퍼드대학교)

 5. 항해하는 질병: 지중해, 흑해, 동아시아에서 발생한 콜레라와 영국 해군의 작전, 1848-1877 (마크 해리슨, 옥스퍼드대학교)


2부 근현대 동아시아 이주의 역사적 맥락: 이주의 시공간적 확장과 사회의 재구성

 6. 이민과 관광: 와카야마현 아메리카무라와 뿌리 찾기 관광 (가와카미 사치코, 교토외국어대학)

 7. 오사카 코리아타운과 서울 가리봉동: 두 에스닉타운 커뮤니티의 과거와 현재 (손미경, 기후단기여자대학)

 8. 부산 사할린 영주귀국자의 이주와 가족 (안미정, 한국해양대학교)

 9. ‘다민족 일본’의 고찰: 일본 외국인 주민의 역사와 경계문화의 가능성 (미나미 마코토, 나가사키대학)

 10. 동아시아 무국적자와 복수국적자의 정체성 (진텐지, 와세다대학)

 11. 동아시아의 난민 정책과 베트남난민 수용 (노영순, 한국해양대학교)


 3부 현대 동아시아의 이주와 사회: ‘새로운’ 이주, 변화하는 사회·공간·인식

 12. 한국인의 중국 이주와 사회변동: 1990년부터 2020년까지 (구지영, 한국해양대학교)

 13. 중국의 국제결혼과 결혼이주 메커니즘: ‘동북형’ 국제결혼과 동아시아적 의미 (후웬웬, 산동대학)

 14. 현대 중국의 새로운 도시화와 국내이주 (롄싱빈, 선전대학)

 15. 20세기 일본의 도시 이주와 대중식당업 (오쿠이 아사코, 교토여자대학)

 16. 또 하나의 이주자, 선원과 한국 사회: ‘순직선원위령탑’을 둘러싼 지역사회 인식의 변화 (한현석, 한국해양대학교)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