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용 | 한국해양대학교 국제해양문제연구소(소장 정문수)는 『해항도시의 문화교섭학』이라는 새로운 영역의 이론적 토대와 방법론을 모색하고, 국내외 연구자들의 인접 학문의 연구성과를 공유·비판하는 자리를 갖기 위해서 매년 석학초청강연회를 개최하고 있다. 이번 제9회 석학초청강연회는 부경대학교 사학과의 조세현 교수님을 모시고, "해양에서 본 근대중국과 한중관계"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자리를 가졌다. 실제 강연자는 근대중국에서 영해의 탄생과정과 19세기후반 바다를 둘러싼 한중관계라는 두 가지 주제를 묶어 소개하였다. 강연자가 근래에 쓴 책을 기반으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제9회 석학초청강연회: 해양에서 본 근대중국과 한중관계
제1장 해양질서의 재편과 ‘영해’의 탄생 1-1. 제2차 아편전쟁 시기 중외조약에 나타난 ‘내양’ 1-2. 양무운동 시기 『만국공법』에 나타난 영해개념 1-3. 청일전쟁 후 조차조약 등을 통해 본 영해관념의 형성 1-4. 청말신정 시기 영해관념의 발흥 1-5. 청말신정 시기 해양분쟁 사례들 제2장. 바다를 둘러싼 19세기후반 한중관계 2-1.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해운관련 항목 2-2. 「조청무역장정」과 「한청통상조약」의 해군관련 항목 비교 2-3. 「조청무역장정」과 한청 어업분쟁
▣ 강연자 주요 약력: 조세현 교수 - 서강대학교 졸업 - 중국 북경사범대학 역사과 박사 - 현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도서관장 - 연구분야: 동아시아 근대사상문화, 동아시아 근대해양사 연구 - 주요저서:《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일조각, 2016년)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교류와 연대》(창비, 2010년)
|
이번 제9회 석학초청강연회는 부경대학교 사학과의 조세현 교수님을 모시고, "해양에서 본 근대중국과 한중관계"에 대해서 함께 생각해 보고자 하는 자리를 가졌다.
실제 강연자는 근대중국에서 영해의 탄생과정과 19세기후반 바다를 둘러싼 한중관계라는 두 가지 주제를 묶어 소개하였다.
강연자가 근래에 쓴 책을 기반으로 강연이 진행되었다.
제9회 석학초청강연회: 해양에서 본 근대중국과 한중관계
제1장 해양질서의 재편과 ‘영해’의 탄생
1-1. 제2차 아편전쟁 시기 중외조약에 나타난 ‘내양’
1-2. 양무운동 시기 『만국공법』에 나타난 영해개념
1-3. 청일전쟁 후 조차조약 등을 통해 본 영해관념의 형성
1-4. 청말신정 시기 영해관념의 발흥
1-5. 청말신정 시기 해양분쟁 사례들
제2장. 바다를 둘러싼 19세기후반 한중관계
2-1. 「조청상민수륙무역장정」의 해운관련 항목
2-2. 「조청무역장정」과 「한청통상조약」의 해군관련 항목 비교
2-3. 「조청무역장정」과 한청 어업분쟁
▣ 강연자 주요 약력: 조세현 교수
- 서강대학교 졸업
- 중국 북경사범대학 역사과 박사
- 현 부경대학교 사학과 교수, 도서관장
- 연구분야: 동아시아 근대사상문화, 동아시아 근대해양사 연구
- 주요저서:《천하의 바다에서 국가의 바다로》(일조각, 2016년)
《동아시아 아나키스트의 국제교류와 연대》(창비, 2010년)